플라스틱 용기들의 생산 공정(페트병, 압출 블로우)
다양한 플라스틱 용기들의 생산 공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페트병 제조 공정
제일 먼저, 페트병을 제조하는 공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페트병을 제조하는 방법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요. 1 스테이지와 2 스테이지라고 부릅니다. 이 중에서 1 스테이지는 사출과 블로우 과정이 같은 설비에서 이루어지는 공정입니다. 페트병을 만들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공정을 거쳐야 합니다. 그럼, 이제 차례대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첫 번째는 원료 투입 공정입니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원료로 사용합니다. 두 번째는 원료 건조입니다. PET의 재료를 투입하기 전에 재료를 180C에서 건조하는 과정인데요. 재료에 습기가 있으면 용기 성형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세 번째는 사출과 성형입니다. 사출 공정은 용기 형태로 만들기 전의 형태, 즉 프리폼을 만드는 과정입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프리폼에 공기를 불어넣어서 용기 형태로 만드는 과정을 블로우 과정이라고 합니다. 블로우 과정을 거치게 되면, 우리가 흔히 보는 병이 되는 것입니다. 이후 제품 검사를 하고, 수송용 박스에 포장을 한 다음, 병이 필요한 공장으로 유통이 됩니다. 방금 사출 공정에서 만들어지는 것을 프리폼이라고 한다고 말씀드렸었죠. 프리폼은 페트병을 만들기 전에 입구 부분에 정밀한 나사를 만들고 정확한 중량의 페트병을 만들기 위해서 꼭 필요한 단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프리폼을 연신한 후에, 일정한 형태의 금형 내부에서 공기를 불어넣으면 용기 모양이 나오는데요, 이 공정을 stretch blowing성형이라고 합니다. 지금 보이는 사진처럼 일정한 모양을 잡아주는 틀을 블로우 금형이라고 합니다. 금형에 프리폼을 두고, 풍선을 부는 것처럼 공기를 불어넣으면, 용기 형태로 연신이 되어서 용기로 만들어지게 됩니다. 프리폼이 연신되면서 재질의 내부 형태가 정렬되는데, 연신이 잘되면 페트병이 아주 투명해 보입니다. 1 스테이지의 장비는 그림에서와 같이 사출성형기와 블로우 성형기가 같은 설비로 구성되어 있어서, 프리폼을 성형하는 별도의 설비가 필요가 없습니다. 그리고 프리폼을 가열하는 히팅장치도 없기 때문에, 설비 가격이 2 스테이지에 비해서 저렴한 편입니다. 주로 입구가 큰 병이나, 타원 형태와 같은 생활용품 제품을 생산하는 데 적합합니다. 2 스테이지는 사출성형기와 블로우 성형기가 별도로 되어 있어서, 프리폼 히팅 장치가 필요합니다. 설비비가 비싸고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만, 경량화 용기나 균일한 품질의 페트병 생산이 가능합니다. 주로 음료나 생수병과 같이 경량화 용기를 생산하는 데 쓰입니다.
압출 블로우 용기 제조공정
다음으로 압출 블로우 용기 제조공정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압출 블로우는 플라스틱 용기 중에서도 특히, 반투명 식품 용기나 말통 같은 제품을 만드는 공정입니다. 재료는 주로 PE 또는 PP 재질을 사용합니다. 용기를 제조하는 공정으로는 원료 투입과, 압출 용융 공정이 있습니다. 압출 용융공정은 패리슨을 만드는 과정인데요. 쉽게 말하면, 최종 모양의 용기를 찍어내기 위해서 용기 모양의 기본 재료를 만드는 과정입니다. 원통 모양의 패리슨 형태로 압출된 재료에 공기를 집어넣어서 용기를 성형한 다음, 외부에 남아있는 부분을 제거하는 트리밍 과정을 거치면 포장용기가 완성됩니다. 그림은 PE 용기를 압출 블로우 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용융 작업으로, PE 재료를 1차로 패리슨을 만드는 작업인 블로우 용기 형태의 전 단계까지 만들고 2차로 금형에 완전히 부풀도록 공기를 불어넣고, 금형 내부에서 냉각시키면 용기가 만들어집니다. 일상생활에서 흔히 사용하는 플라스틱병들은 거의 대부분 PET이거나, PP와 PE 블로우 과정으로 만들어진 용기라고 보시면 됩니다.
'패키징, 포장재 차이점, 포장 기술 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플라스틱 포장의 제조 과정과 특징 (0) | 2022.07.25 |
---|---|
플라스틱 포장 재료와 보조 재료 (0) | 2022.07.25 |
패키징(포장)의 종류와 기능 (0) | 2022.07.24 |
패키징 재활용 정책과 세부 규정 (0) | 2022.07.24 |
햇반 패키징 포장기술과 안전성 (0) | 2022.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