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패키징, 포장재 차이점, 포장 기술 전략

햇반 패키징 포장기술과 안전성

햇반 패키징 포장기술과 안전성

햇반 패키징 포장기술과 안전성
햇반 패키징 포장기술과 안전성

햇반과 포장기술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햇반이란 무엇인지와 포장 구성에 대해서 설명드리고, 햇반이 장기 유통될 때의 안전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소비자들이 항상 궁금해하시는 햇반 포장재에 대한 재질 안전성에 대하여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햇반이란

여러분, 햇반 하면 무엇이 먼저 떠오르시나요? 햇반은 '당일 도정하여 갓 지은 밥'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집밥처럼 맛있고 보관, 조리, 취식이 편리한 포장 제품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96년 출시 후 현재까지 누계로 약 31. 7억 개, 작년 한 해 동안 약 4.5억 개가 판매되었으며, 전자레인지나 끓는 물을 이용해서 손쉽게 조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햇반은 먼저 벼의 선택과 쌀 보관부터 철저한 품질관리를 하고, 저희 회사는 자체 도정 시스템을 가지고 있어서 당일 도정한 쌀을 사용하기 때문에 보다 더 맛있는 밥을 만들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각 품종에 맞춤화된 취사를 진행하고, 반도체 공정 수준의 무균시설에서 포장하는데, 산소와 수분을 차단하는 특수한 용기와 필름을 사용하기 때문에 방부제와 첨가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도 안전하고 맛있는 밥맛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햇반 포장의 구성

햇반 포장은 그림과 같이 제품을 담는 용기와 LID라고 하는 필름으로 이루어져 있는데요. 밥맛의 품질과 유통기한의 안전성을 위한 기능성 패키징 소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햇반 용기는 PP, EVOH, PP 재질로 구성된 다층 차단 용기입니다. 에틸렌 비닐알코올이라고 불리는 고 차단 소재 EVOH가 용기 내부의 수분과 향이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주고, 외부로부터는 산소가 들어오는 것을 완벽히 차단해 주며, 폴리프로필렌이라고 불리는 PP가 외부 충격으로부터 제품을 보호해 줍니다. 용기 상단에 밀봉되는 LID필름은 PA, EVOH, PP 재질로 구성된 차단 필름인데요. 폴리아미드 또는 나일론이라고 불리는 PA가 인쇄 및 강도 보강 역할을 하고, 가장 내면에 사용되는 이지필 필름은 소비자가 손쉽게 개봉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밥과 직접 접촉하고 있는 PP 소재는 미 FDA 규정에 명시된 식품포장 규격을 만족하고 있으며, 국내 식품공전 기준에도 적합한 재질입니다.

햇반의 장기 유통 안전성

햇반은 용기에 쌀을 넣고 용기채로 밥이 지어집니다. 용기를 하나의 밥솥이라고 생각하시면 되는데요. 앞에서 설명드린 바와 같이 무균포장 공정에서 산소 및 균을 완벽하게 차단하는 기능성 패키징 구조와 소재를 적용하여 상온 장기유통이 가능한 제품입니다. 햇반 생산 공정과 포장공정은 그림에서와 같이 먼저 용기와 LID필름이 입고되고, 세미와 침지를 거친 쌀을 용기에 투입하여 가압 살균한 후 물을 충전하고, 밥을 짓는 취반 공정과 뜸을 들이는 증숙 공정을 통해서 햇반을 생산합니다. 용기와 LID필름 밀봉은 취반 직후에 100 Class 이하로 관리되는 무균 화실에서 열접착 공정을 통해서 이루어집니다. 포장재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해물질이 전혀 없으며 산소 차단 기능을 가지는 다층 구조의 특수한 용기 및 리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림에서 보듯이 용기와 필름의 중간층에 산소 차단성이 우수한 EVOH를 적용하여, 1 pack당 0. 01cc 이하 수준으로 제어하고 있어서 햇반을 상온에서도 장기유통을 할 수 있고, 유통기한 내 산소에 의한 변질이 발생되지 않습니다. EVOH는 에틸렌과 초사 비닐의 공중합체로서 가스 차단성, 투명성, 광택성, 내유성, 내약품성 등이 우수하여 플라스틱 포장재에 차단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했습니다.

햇반 포장의 재질 안전성

햇반을 포장채로 전자레인지나 끓는 물에 넣어 조리하면 환경호르몬이나 유해 물질이 나올까 봐 걱정을 많이 하시는데요. 햇반 포장 재질은 안전성이 검증된 소재만을 사용하고 있으며 우수한 내열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전혀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햇반 용기와 LID필름은 전자레인지 사용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폴리프로필렌(PP)은 내열성 및 강성이 우수하여 전자레인지에 사용 가능한데요. 햇반 용기에 사용되는 PP는 내열온도가 125℃이상, 플라스틱이 변화하기 시작하는 연화점 온도는 150℃이상 되는 재질입니다. 일반적인 식품용기에 많이 사용되는 PET나 폴리에틸렌(PE) 소재는 전자레인지 사용이 불가능하고, 폴리프로필렌(PP) 소재는 국내를 비롯하여 EU, 미국, 일본 등 해외에서도 전자레인지용 재질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안전한 재질입니다. 아래 그림은 햇반에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PP와 같은 소재가 적용된 전자레인지 조리 가능한 제품 사례들입니다. 여기에 사용되는 PP원료는 물성 표에서 알 수 있듯이 열변형 온도 125℃, 연화점 150℃ 이상이며 굴곡 탄성률이 14. 5 ton/cm2의 물성을 가지고 있어 외부 충격에도 강한 재질입니다. 햇반 포장, 즉 용기와 LID필름에 사용되는 재질로는 PP, PA, EVOH입니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은 종류에 따라 각각의 고유한 분자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햇반 포장재에 적용되는 원료는 우측의 그림에서와 같이 환경호르몬 분자 구조와는 전혀 다른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햇반 포장에는 대표적인 환경호르몬 의심 물질인 DEHP 外 프탈레이트류, 비스페놀 A 등을 전혀 포함하지 않고 환경호르몬이 없는 안전한 포장재입니다. 햇반 포장에 대한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저희는 끊임없이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국가공인기관에 의뢰하여 식품공전, 기구 및 용기 포장의 기준 및 규격에 적합한지에 대해 매년 2회 평가하고 있으며, 실제 용기와 LID필름을 사용하는 저희 햇반 사업장에서 DEHP 등 프탈레이트계 환경호르몬 및 잔류 용제에 대한 분석을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상으로 제가 준비한 내용이 모두 끝났습니다. 햇반은 맞벌이와 1인 가구, 주 5일 근무 등 생활방식이 변화함에 따라, 간편하게 요리할 수 있지만, 또 안전한 제품에 대한 소비자 요구에 의해 만들어진 제품입니다. 앞에서 설명드린 기능성 패키징 구조와 재질이 개발되지 않았다면 무방부제, 무첨가제의 햇반이 상품화될 수 없었다고 생각합니다. 햇반도 이 정책에 맞추어 플라스틱 사용량을 최대한 저감 하는 친환경 활동을 지속적으로 실행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