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산물 포장재 사용량과 포장재료

농산물 유통에 사용되는 포장재는 연간 얼마나 사용되고 있을까요? 2014년을 기준으로, 도매시장에 출하되는 포장 단위들을 산출했을 때, 연간 약 15억 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 가장 많은 것은 골판지상자였는데요. 8억 4천만 개로, 전체의 약 57%를 차지했습니다. 다음으로는 쌀 포장에 사용되는 크래프트 지대가 약 5억 9천만 개로 33%를 차지했습니다. 그물망 비닐포장재는 약 1억 5천만 개로 1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농산물용 기능성 포장재료
농산물 포장에는 어떤 포장재료들이 사용되고 있을까요? 주요 포장재료로는 농산물의 유통기한을 늘려주는 기능성 플라스틱 용기와 필름 포장이 있고요. 택배나 유통에는 골판지상자가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농산물 수출을 많이 하는 농가에서는 농산물의 유통기한을 늘릴 수 있는 포장방법을 원하고 있는데요. 신선도를 유지하고 유통기한을 늘리는 포장, 이것을 기능성 포장, 또는 스마트 포장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농산물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여러 가지가 있는데요. 포장에서 이런 요인들을 제거해 준다면 농산물의 기능을 향상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현재까지 연구해서 개발된 기능성 포장재료에는 에틸렌가스 흡착 포장재, 항균 포장재, MA 포장재, 방담 포장재 및 액티브 포장재 기술이 있습니다. 대부분 포장재에 적용되는 기술인데요. 농산물의 호흡을 조절해서 신선도를 높이고, 유통기한을 늘리고자 하는 기술입니다. 특히 MA 기술은 포장재 내부와 외부의 환경에 따라서 농산물의 호흡 정도를 조절해 주는 좋은 포장기술입니다. 실제로 야채나 과실의 상품화에 많이 적용되고 있는 기술입니다. 종이와 골판지에도 이러한 기능성 물질을 코팅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농산물 박스 중에서 특히 수출하는 농산물의 포장인 경우는 몇 가지를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있습니다. 해상으로 농산물을 운송하는 경우에는, 운송 기간이 길고, 수분으로 인해 박스 손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습도에 강한 포장박스를 사용해야 합니다. 강도와 상자 두께를 감안해서 농산물 박스를 설계해야 하는 것입니다. 특히 해상 운송을 할 때는 농산물 자체의 호흡에 따라서도 부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비를 한 설계가 특히 필요합니다.
농산물의 가치를 높이는 기능성 포장 사례
이제부터 골판지 박스를 이용한 농산물 포장 사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지금 보이는 사진은 일본의 감귤류 포장입니다. 밀감 하나하나를 고정할 수 있는 포장방법을 적용하고 있다는 것이 보이죠. 밀감의 가치를 포장에 담아서 상품화하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포장 차별화를 통한 마케팅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다음은 일본으로 수출되고 있는 파프리카 박스 포장재입니다. 여기서는 어떤 점에 주목해야 할까요? 바로 박스 측면에 있는 구멍입니다. 이 구멍은 통기구멍이라고도 하는데요. 농산물의 호흡과 박스의 강도를 유지하는 데에는 통기구의 형태와 기능이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농산물 자체의 호흡 때문에 부패가 일어나는 일을 막기 위해서는 통기구를 내줘야 하는데요. 박스의 강도를 고려할 때, 위아래로 쉽게 눌릴 수 있는 가로형 통기구보다는 세로형 통기구가 유리합니다. 다음으로 소개할 사례는 멜론 포장재입니다. 한국 농산물 포장의 경우, 개별 상품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은 했지만, 박스를 개봉해 보면 상품끼리 부딪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일본의 멜론 포장을 보면, 개별포장의 개념으로 포장을 하고, 운송 중 진동에 의한 흔들림을 방지하는 종이 포장과 함께 뚜껑이 덮여 있는 모습입니다. 유통 과정 중에 생길 수 있는 파손을 고려한 박스 포장재 설계, 특히 농산물 포장에서는 중요한 기능이라고 생각합니다. 요약하자면, 농산물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디자인과 포장기술을 차별화하고 고급화하는 '기능성 포장재' 개발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수출용 농산물을 포장할 때에는, 품목별로 적합한 포장기술을 접목한 '농산물 수출전용 포장기술'이 꼭 필요합니다. 포장의 방법을 바꾸어서 농산물의 가치를 향상할 수 있다는 것 꼭 기억해 주시기 바랍니다.
'패키징, 포장재 차이점, 포장 기술 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적인 적정포장과 환경을 위한 포장 (0) | 2022.07.22 |
---|---|
농산물 포장재의 발전과정과 종류 (0) | 2022.07.22 |
국내 패키징산업의 특징과 구성요소 (0) | 2022.07.22 |
국내 패키징산업 규모와 현황 (0) | 2022.07.21 |
완충 포장 기법의 목적과 재료, 사례 (0) | 2022.02.18 |